UP (음악 그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P는 1996년 데뷔한 대한민국의 혼성 음악 그룹이다. 1집 《1024》로 데뷔했으며, 1997년 2집에서 〈뿌요뿌요〉, 〈바다〉 등을 히트시키며 전성기를 맞았다. 1999년 베스트 앨범 발매 후 해체했으며, 멤버들은 각자 활동을 이어갔다. UP는 1997년 골든디스크 본상 등을 수상했으며, 2집 활동 당시의 높은 인기로 인해 해체 후에도 대중의 관심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9년 해체된 음악 그룹 - 언타이틀
언타이틀은 1996년 데뷔하여 "날개"라는 히트곡으로 각종 가요 프로그램 1위, 대한민국 영상음반대상 SKC 인기가수상, KBS 가요대상 올해의 가수상을 수상하는 등 큰 인기를 얻은 가수이다. - 1999년 해체된 음악 그룹 - 카디건스
1992년 스웨덴에서 결성된 카디건스는 니나 페르손의 보컬과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음악, 그리고 "러브풀"의 성공으로 국제적인 인기를 얻었으나, 멤버 탈퇴로 새 앨범 발매는 없을 예정이며 투어는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 1996년 결성된 음악 그룹 - 베이비복스
베이비복스는 1997년 데뷔하여 'Ya Ya Ya'의 히트와 윤은혜 합류 후 2000년대 초반까지 아시아에서 큰 인기를 누렸으나, 2006년 해체 후 멤버들은 각자 활동하며 섹시 콘셉트로 걸그룹 역사에 영향을 미쳤다. - 1996년 결성된 음악 그룹 - 노브레인
노브레인은 1996년 결성된 대한민국의 펑크 록 밴드로, 1990년대 후반 펑크 록 씬을 이끌었으며, 2000년 정규 1집 발매 후 욱일기 찢는 퍼포먼스로 논란을 겪고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혼성 음악 그룹 - 코요태
1998년 결성되어 멤버 교체를 거쳐 현재 김종민, 신지, 빽가 3인 체제로 활동하며 다수의 히트곡으로 꾸준한 인기를 누리고 있는 대한민국의 혼성 그룹이다. - 혼성 음악 그룹 - 클래지콰이 프로젝트
클래지콰이 프로젝트는 DJ 클래지, 알렉스, 호란으로 구성된 대한민국의 혼성 그룹이며, 클래식, 재즈, 그루브를 결합한 음악 스타일로 2004년 데뷔 이후 여러 앨범을 발매하고 한국대중음악상 수상 및 드라마 OST 참여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UP (음악 그룹) | |
---|---|
기본 정보 | |
그룹 종류 | 그룹 또는 밴드 |
국적 | 대한민국 |
장르 | K-POP |
활동 기간 | 1996년-1999년 |
구성원 | |
현재 구성원 | 이해정 이정희 박상후 이켠 |
이전 구성원 | 강현 (1집) 김용일 (1집~3집 중반) |
2. 데뷔 시기
UP는 1996년 1집 《1024(10월24일)》로 데뷔했으며, 당시 강현, 김용일, 이해정으로 구성된 혼성 3인조 그룹이었다. 타이틀곡 〈1024(10월24일)〉는 작곡가 장용진의 생일인 10월 24일을 뜻하며, 노래 내용과 관계없는 숫자를 제목으로 채택한 것이 특징이다. 이 곡은 대중적으로 알려졌지만, 가요계에 큰 영향을 주지는 못했다.[1]
1997년 2집에서는 래퍼 강현이 빠지고 박상후와 이정희가 합류했으며, 당시 이들의 나이는 16살이었다. 이로써 UP는 4인조 혼성그룹으로 활동하게 되었다. 같은 해 여름, 〈뿌요뿌요〉와 〈바다〉를 히트시키며 큰 인기를 얻었다.[1] 이 곡들로 공중파 음악 프로그램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당시 대부분의 가수나 그룹들이 립싱크로 활동했으나 UP는 무대에서 라이브로 활동하여 좋은 이미지를 보여주었다.[1] 하지만 김용일의 파트는 대부분 고음이었고, 이해정의 파트는 서서히 빛을 잃어갔다.[1]
같은 해 가을, 3집을 발표하여 타이틀곡 〈밝은세상〉으로 활동하였다. 2집의 이미지를 그대로 이어간 3집은, 그러나 더 이상의 인기를 이어가는 데는 실패했다. 게다가 뮤직비디오도 제작하지 않는 등 기획사의 투자 미비까지 겹쳐져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밝은세상〉이 2집의 후광으로 가요 순위 상위권을 잠시 차지하였을 뿐, 2집 때와 같은 인기를 회복하지 못했다.[1] 3집 활동 중에 김용일이 연예계 생활을 하지 않겠다고 하여 팀을 탈퇴하였고 이켠(본명 양상모, 1982년 2월 20일 ~)을 영입하였다.[1]
3. 2집 발매와 전성기
4. 3집 이후와 해체
1998년 8월, 4집을 발표하여 〈그때 그 시절〉, 〈정글의 법칙〉으로 재기를 노렸으나 역시 기획사의 비협조 등으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 앨범에서 박상후가 〈부탁해요〉라는 곡을 직접 작곡하기도 했다.[1]
1999년 초, 베스트 앨범을 발표하였으며 이때 해체 사실이 확정된 것으로 보인다. 그해 여름에 마지막 팬미팅을 끝으로 공식 해체되었다. 해체 이후 이켠을 제외하고는 멤버별로 뚜렷한 연예 활동은 없으나, 멤버 중 박상후는 2014년 솔로 활동을 재개했다.[1]
2005년 8월, MTV VIDEOPLEX 여름 노래 차트에 4집에 수록된 〈그때 그 시절〉이 45위, 2집에 수록된 〈바다〉가 11위에 올랐을 정도로 한 시기를 대표한 가수였다.[1]
비록 3집 이후에도 2집 때의 인기를 회복하지 못하였지만, 연예 잡지나 방송 활동을 꾸준히 지속하였다는 점이 유피 활동에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는 2집 활동 당시의 왕성한 활동이 대중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겨 지속적으로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때문에 해체 시에도 대중의 관심권을 완전히 벗어나지 않았다. 멤버 박상후는 현재 리온으로 활동 중이다.[1]
5. 멤버
1집에서는 강현, 김용일, 이해정이 활동했고, 2집부터 이정희, 박상후가 합류하였다. 김용일은 3집까지 활동하고 탈퇴하였고, 4집에서는 이켠이 합류하여 이해정, 이정희, 박상후와 함께 활동했다.
5. 1. 멤버 변천사
6. 앨범
7. 수상
7. 1. 가요 프로그램 1위
연도 | 수상 내역 (총 12회) |
---|---|
1997년 (총 12회) |
참조
[1]
웹인용
유피(UP)
http://www.izm.co.kr[...]
2022-10-20
[2]
간행물
행복과 웃음 전하는 우리들의 짝궁 "UP"
2022-11-17
[3]
뉴스
댄스시장의 '무서운 10대'들 젝스키스·UP·영턱스클럽 초여름 열풍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2022-1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